aboutsummaryrefslogtreecommitdiffstats
path: root/index_ko.html
diff options
context:
space:
mode:
Diffstat (limited to 'index_ko.html')
-rw-r--r--index_ko.html26
1 files changed, 0 insertions, 26 deletions
diff --git a/index_ko.html b/index_ko.html
deleted file mode 100644
index 9d3831f03..000000000
--- a/index_ko.html
+++ /dev/null
@@ -1,26 +0,0 @@
----
-layout: index
-lang: ko
-title: Homebrew — MacPorts는 술을 마시게 만들지 않나요? Homebrew를 써봐요!
-subtitle: OS X 용 패키지 관리자
-
-pagecontent:
- what: Homebrew는 Apple에서 제공하지 않지만 <a href="https://github.com/mxcl/homebrew/tree/master/Library/Formula" title="List of Homebrew packages">필요한 패키지</a>를 설치합니다.
- how: Homebrew는 자신의 디렉토리에 패키지를 설치하고, <code>/usr/local</code>안에 그 파일을 심볼링 링크로 겁니다.
- prefix: Homebrew는 prefix가 붙지 않는 파일은 설치 하지 않지만, 여러분이 원하는 위치 어느곳이든 설치할 수 있습니다.
- createpackages: 자신의 Homebrew 패키지를 간편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.
- hack: Homebrew는 모두 git과 ruby기반으로 되어 있어, 여러분이 이미 가진 지식으로 쉽게 수정하거나 업데이트, 병합할 수 있습니다.
- formula: "Homebrew formula는 간단한 Ruby 스크립트입니다:"
- complement: Homebrew는 OS X을 보완해 줍니다. <code>gem</code>명령으로 gem을, <code>brew</code>명령으로 gem의 의존관계의 모듈을 설치합니다.
- install:
- install: Homebrew 설치하기
- paste: 터미널 프롬프트에서 붙여넣기 하세요.
- what: 스크립트에서 무엇을 하는지에 대해 설명하고, 실행하기 전에 일단 정지합니다. 더 자세한 설치 관련사항을 보려면 <a href='https://github.com/mxcl/homebrew/wiki/Installation'>여기</a>를 봐 주세요 (10.5 버전 필요).
- doc:
- further: 추가 문서
- wiki: Homebrew 위키
- foot:
- code: Original code by <a href="http://methylblue.com/">Max Howell</a>.
- page: Website by <a href="http://exomel.com">Rémi Prévost</a>.
- translation: Translation by <a href="http://rkjun.wordpress.com/">Juntai Park</a>.
----